본문바로가기

병원소개 환자를 내 가족처럼 모시는 병원이 되겠습니다.

> 커뮤니티> 건강정보 > 강좌

건강정보

제목

피로한 눈을 위한 눈 건강 생활 수칙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겨울이 되면 눈이 시리고 뻑뻑하며 따가움을 호소하거나 찬바람에 눈물이 자주 나서 불편함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특히 요즘처럼 춥고 건조한 날씨는 눈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며, 난방기의 사용으로 실내공기는 더욱 건조해져 안구건조증을 악화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수시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와 콘텐트 렌즈 착용, 스트레스 증가 등으로 눈을 더 많이 괴롭히고 있다.

◆ 겨울철 눈 건강을 위한 생활 수칙 6

눈

1. 선글라스를 착용해 자외선으로부터 눈 보호

선글라스는 여름에만 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자외선은 눈의 노화를 유발하기 때문에 자외선이 강한 곳이면 어느 곳이나 끼는 것이 좋다. 특히 각막염(keratitis))이나 익상편(pterygium)은 자외선과 밀접한 안과질환으로 눈 건강을 위해서는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글라스를 고를 때는 렌즈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확실하고 색상이 골고루 분포 된 것이 좋다. 렌즈 색상은 연한 것이 좋으며 해변 등 햇빛이 강한 곳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크고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녹색이나 회색이 좋다. 운전할 때는 신호를 구별하기 좋은 황색이나 갈색, 햇빛이 약하거나 흐린 날에는 노란색이나 붉은색 선글라스를 사용하면 좋다.

2. 1시간 작업 후 10분 휴식, 눈에도 휴식이 필요해

업무를 하거나 책, 컴퓨터를 볼 때 30~50cm 정도 거리를 두는 것이 좋으며 1시간 정도 책을 본 후에는 반드시 5~10분 휴식을 취해 눈을 쉬게 해줘야 한다. 휴식 때는 창 밖의 먼산을 쳐다보거나 눈 운동, 지압을 해주는 등 집중 했던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3. 노안이 진행되면 1년에 1회 안과 정기 검진 필수

40세 이후부터는 노안이 진행되고 백내장이나 녹내장 등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서 1년에 한 번씩 안과 검진을 받아 심각한 안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4. 루테인(lutein) 함유된 녹황색 채소를 자주 섭취

눈이 나빠지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인 원인은 눈을 너무 혹사시키는 행위이다. 혹사 당하는 눈 건강을 위해서는 평소 아연이나 비타민 c, 비타민 e가 풍부한 항산화 음식을 챙겨 먹는 것이 도움된다. 시금치나 완두콩, 당근 등 녹황색 채소에 함유된 루테인이 눈 건강에 좋다.

5. 물 많이 마시고 적정 습도 유지

환절기나 겨울철에 많은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려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하루 8~10컵 정도의 물을 수시로 마시고 눈을 자주 깜빡이는 것도 도움된다. 실내 온도를 18도 정도로 유지하고,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정도로 맞추면 눈물의 증발을 막아 건조함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차나 히터의 바람이 직접 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책이나 컴퓨터,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에 두면 눈이 노출되는 면적을 줄여 안구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6. 부족한 눈물을 보충하는 인공누액, 안약 사용 시 주의

눈의 뻑뻑함을 완화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인공눈액은 부족한 눈물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점안액이다. 인공누액은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약이 아니라 부족한 눈물을 임시로 보충해주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마음대로 중단하기 보다는 의사의 지시를 따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인공누액 대신 사용하는 안약에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 있는 경우 녹내장, 백내장 등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과의사의 처방을 받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www.hidoc.co.kr)
     
  • 의료진안내
  • 진료안내
  • 블로그
  • 카톡플친